본문 바로가기

국내이슈 이야기/정치 이야기

고성국박사, 정치평론 노하우 / CBS

 

최근 총선으로 유명세를 탄 고성국박사님은

사실 그 이전부터 일명 '고스트라다무스'라 불릴 정도로, 신통방통한 예지력(!)을 뽐내셨습니다.

지난 강원도지사 선거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엄기영이 이긴다고 얘기할때도, 그는 최문순의 당선을 예측해 냈었지요~!

 

그 평론 노하우가 너무나도 궁금했던차에,

그가 출연하던 CBS라디오, 정관용의 시사자키 코녀였던 고성국의 판읽기에서 노하우를 밝혔습니다.

읽어보면 실망하실 수도 있는데,

그래도 그의 평론에 관한 생각과 정치적 편향을 줄이려는 그의 노력들을 엿볼 수 있답니다~!

 

20120411 / CBS / 고성국의 판읽기, 마지막시간 : 정치평론 노하우는?

요약

- 각계각층의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잘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 평론에 필요한 몇 가지 이론과 틀에 대한 공부가 되어있고, 귀를 열고 마음을 열고,

 여러 사람들의 말씀들을 들으면, 그 속에서 뭔지 모르지만, , 대개 흐름과 느낌이 옵니다.

 그 느낌을 가지고 다시 제가 이제 뉴스를 보고 정보들을 해석을 하는 거지요.

- 정치평론도 왕도나  지름길 없습니다. 상당히 오랜 시간을 투여해야 되고, 그리고 늘 열어놓고 있어야 됩니다.

 

제일 위험한 것은 어떤 주관적인 희망을 강하게 갖고 있을 때입니다.

 그러면 편향이 생기므로, 그때가 제일 위험합니다. 저도 사람이니까 그런 편향이 없을 수 없지요.

 그러나 어쨌든 저는 주기적으로 혹시 편향이 있는 건 아닌가하고 자체 점검을 하려고 노력합니다.

 

- 객관적이라고 평가하므로 나름대로 분석해서 설명해주는 것이고 어느당 누구를 만나든 얘기를 나누게됩니다.

- 정치인들을 만나면, 일종의 무슨 동업자 의식 같은 거라고 그럴까요?

 솔직하게 서로 이야기하니까 말이 그렇게 길 필요가 없습니다.

지역에 가면 기사분들이 제일 상황에 밝으시고 적극적이시기때문에 웬만하면 택시 타고 다닙니다.

- 그리고 가급적, 그 지역에 뭐 국회의원 보좌관을 했거나 또 시도당의 사무처에서 일을 했던 분들을 만납니다.

 

- 크로스 체킹을 위해 대구를 가면 새누리당 사람뿐 아니라

 한두 사람이라도 꼭 민주통합당 쪽 사람들이나 통합진보당 쪽 사람들을 만나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광주에 가면 어떻게든 새누리당 사람들을 만나려고 그러지요. 그러면 어느정도 감이 옵니다.

 

 

아래는 고성국박사의 언급을 위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2년까이 저와 판읽기를 진행했었습니다. 오늘이 마지막 시간이 됐는데, 아쉽습니다.

 

, 아쉽습니다. 그동안 아주 즐겁고, 또 좀 매번 긴장되었습니다.

고성국의 판읽기를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어쨌든 좀 무거운 짐을 내려놓는다, 뭐 그런 느낌도 좀 있습니다.

 

 

 고박사님은 한달 전쯤에 이미 새누리 135, 민주통합 130을 얘기했습니다.

 그때 그런 이야기를 한 사람이 없었는데, 그런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판읽기 노하우를 청취자에게 가르쳐 주신다면요? 그 비법은 무엇입니까?

 

그러시지요, 혹시 도움이 되시면은요.

 

사람들에게 잘 듣는 겁니다.

그냥 시민들, 그 다음에 정치권에 있는 사람들, 정치인들, 국회의원도 되겠고, 보좌관도 되겠고요.

그 다음에 정치평론하는 사람들, 여론조사에서 일하는 분들.

그 다음에 제가 다른 이런저런 일로 만나는 기업하는 분들, 샐러리맨들, 또는 제 친구들,

그리고 제가 지역으로 많이 다니거든요. 뭐 저는 어떤 면에서는 일부러 다니는 일들도 있는데요.

그러면 이제 지역에 가면 택시 타게 되고요. 기사들한테 꼭 뭐 상황이 어떻습니까, 여쭤보고. 뭐 식당에 가서 듣고.

 

그런데 가만히 듣고 있으면 흐름이 잡혀요.

물론 이게 오랫동안 경험하고, 말하자면 정치 현장을 좀 알아야 되겠지요.

정치 현장을 잘 모르면 정치평론 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정치 현장도 좀 알고,

그 다음에 뭐 사실 평론에 필요한 몇 가지 이론적인 무슨 틀 같은 것들도 뭐 좀 공부가 되어 있어야 됩니다만,

그런 기본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귀를 열고 마음을 열고, 여러 사람들의 말씀들을 들으면,

그 속에서 뭔지 모르지만, , 대개 흐름이 좀 이런 것 같다, , 한달 전하고 좀 달라졌네?

라고 하는 느낌들이 온단 말이에요. 그 느낌을 가지고 다시 제가 이제 뉴스를 보고 정보들을 해석을 하는 거지요.

 

 

 좀 더 구체적으로, 이런 결과를 얻으려면 한달 반 전에 이런 저런 포인트를 미리 예상을 해야하잖아요.

 그게 어떻게 가능하냐, 이걸 좀 더 정확히 말씀해주신다면요?

 

그렇습니다. 그거는 사실 오랜 경험을 가지고 제 감각으로 말씀을 드리는 건데요.

그러니까 흐름이 좋을 때 늘 실수가 나오잖아요.

제가 그때 그 예측을 하면서 주요한 차이로 말씀드렸던 게 새누리당에는 박근혜가 있다.

민주통합당에 박근혜를 상대할 대권주자가 지금 없는 상태이다.

그러면 결국 한명숙 대표가 그 역할을 해야 되는데 대권주자와 당 대표만 하는,

대권주자가 아닌 사람 사이에는 리더십의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런 것들은 오랜 경험 속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인 거지요.

 

 

 오랜 경험에서 오는 감은 아무나 가질 수 없는 거잖아요.

 

, 당연하지요. 여기 왕도 없습니다, 지름길 없습니다.

상당히 오랜 시간을 투여해야 되고, 그리고 늘 열어놓고 있어야 됩니다.

그러니까 제일 위험한 것은요, 내가 어떤 주관적인 희망을 강하게 갖고 있을 때입니다.

 

그러면 아무래도 그쪽으로 자꾸 뭘 하게 되거든요.

해석도 자꾸 그쪽으로 하게 되고.

그래서 편향이 생기는 거지요. 그래서 그때가 제일 위험합니다.

저도 사람이니까 그런 편향이 없을 수 없지요.

그러나 어쨌든 저는 적어도 주기적으로 혹시 편향이 있는 건 아닌가하고

제 나름대로는 자체 점검을 하려고 노력합니다.

 

 

 어떻게 점검을 하십니까?

 

그것은 예컨대 한달 또는 일주일 정도면 제가 방송에서 한 이야기,

또 어디에다 기고한 글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객관화된 데이터로 제가 읽어볼 수가 있게 되잖아요.

그러면 제가 아, 어느 대목이 조금 과했다든지, 어느 대목이 틀렸는데 왜 틀렸는지,

그거는 제 마음은 제가 알 수 있는 거니까요. 그렇게 제가 자기 점검을 합니다.

 

 

 정치평론의 최대 덕목은 객관적으로 현실을 보는 것입니까?

 

덕목이라기보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평론이 아니지요, 이미. 주장이 되는 거지요.

그래서 제가 이를테면 지금 새누리당 135, 민주통합당 130, 그렇게 말하면,

민주통합당에 있는 분들한테 이 이야기 하는 것이 조금 꺼려지잖아요.

진다는 이야기니까. 그러나 이것이 제 바람이 아니고, 제가 나중에 이게 틀릴지도 모르지만,

제 나름대로는 객관적 평가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제가 통합당 분들 만나서도 제가 이 이야기를 하거든요.

그리고 그거를 그렇게 기분 나빠하면서 듣지를 않아요.

, 객관적으로 나름대로 분석해서 설명을 해주는 것이니까 자기들한테 도움이 되면 되었지,

이걸 감정적으로 기분 나빠할 일이 아니잖아요.

 

 

 정치인들도 많이 만나시지요?

 

여야 가릴것 없이 거의 매일 누군가와 만난다고 봐야지요.

(정치인들을 만나면)

이제 뭐 일종의 무슨 동업자 의식 같은 거라고 그럴까요?

이를테면 그냥 일반 유권자들을 만날 때 정치인들의 말은 아무래도 좀 수사적인 표현이 많습니다.

그런데 말하자면 선수끼리 만나는 거잖아요. 평론하는 사람이니까 수사적인 표현 다 빼고 하지요.

솔직하게 서로 이야기하니까 말이 그렇게 길 필요가 없지요.

 

지역에 가면 기사분들이 제일 상황에 밝으시고 적극적이시기때문에 웬만하면 택시 타고 다니고요.

그리고 그 다음에 가급적이면 그 지역에 뭐 국회의원 보좌관을 했거나 또 시도당의 사무처에서 일을 했던 분들,

이런 사람들은 대개 20, 30... 그 지역을 잘 아는 분들이거든요.

 

그리고 예컨대 제가 대구를 가면 새누리당 사람들을 많이 보게 되잖아요.

그러나 가급적이면 한두 사람이라도 꼭...  민주통합당 쪽 사람들이나 통합진보당 쪽 사람들을 만나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광주에 가면 어떻게든 새누리당 사람들을 만나려고 그러지요.

그렇게 해서 양쪽 이야기를 체킹을 해야 되는 거지요. 그러면 이제 감이 좀 옵니다.

죄송합니다, 이게 무슨 똑 떨어지는 비법을 말씀드리지를 못해서... (웃음)

 

 

 양쪽 다 이야기를 들어보고, 한쪽으로 치우치지말고, 이런저런 판단을 해주시라는 말씀이지요?

 

그거는 평론을 할 때 그렇다는 것이고요. 주장하실 때는 그렇게 하실 필요 없습니다. 과감하게...

, 저는 사실은 과감하게 주장을 해주셔야 평론가들이 체킹할 수 있으니까 좋습니다.

 

 

 시간이 없습니다. 그동안 애 많이 쓰셨구요.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