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슈 이야기

전력예비율 목표, 2027년까지 22%로

 

20130131 / 경제이슈이야기 / 전력예비율 목표, 2027년까지 22%로

 

지식경제부는 2013년 ~ 2027년까지 향후 15년간,

전력수요 전망과 발전소 건설계획을 담은 제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마련하고,

화력발전 사업자 선정을 완료했다고 31일 발표습니다.

 

또, 2027년까지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를 이용한 화력발전 설비를 1,580만kW,

신재생 설비를 456만kW 늘려서 현재 7%수준인 전력 예비율을 22%로 끌어올리기로 했고,

 

발전설비 노후화에 따른 발전기 고장 정지와 원전 예방정비 등의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전력예비율을 15% 수준으로 유지할 예정이라고 밝혀,

 

OECD 평균 설비예비율은 20~30%수준에는 못미치지만,

그래도 2~5년내에는 지금보다 전력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다만, 원자력발전의 경우에는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여서,

한국수력원자력이 2027년까지 강원도 삼척과 경북 영덕에 150만kW급 2기씩,

총 600만kW를 건설하기 위해서 의향서를 제출했지만 결정을 추후로 미루기로 했고,

 

만약 원전에 대한 불안감이 지속될 경우에는 화력발전 용량을 늘릴 계획으로 알려지고 있고,

이 경우, 화력발전 선정 심사에서 떨어진 사업자 가운데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순으로

사업권이 부여될 예정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제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전원 구성은 정격 용량을 기준으로

석탄 28.5%, 원전 22.8%, 신재생 20.3%, LNG 19.8% 순으로 조정되며,

 

제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의해서 화력발전사업권을 획득한 민간기업은 8개사이며,

민간부문이 보유하게될 화력 발전용량은 1,176만kW로

제 6차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될 전체 화력용량 중 74.4%를 차지했습니다.

 

 

민간 화력발전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서 다소 논란이 예상되는데,

이처럼 민간 화력발전소의 발전비중이 큰 이유는,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 5개가 보유한 발전소 부지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의 동의를 얻은 발전 설비 규모는 440만㎾가량으로,

 

화력발전 수요가 1500만㎾로 예상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민간의 도움없이 수요를 맞추기 힘들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화력발전 설비별로 신규 발전용량과 선정된 업체들을 살펴보면,

 

LNG 발전소는 2015년 12월부터 2017년 말 상업운전을 목표로

발전용량 506만kW의 시설이 추가로 들어서게되며,

GS EPS, SK E&S를 포함한 총 여섯 곳이 사업권을 획득했고,

 

석탄 발전소는 2018년 6월부터 2020년 말까지 가동을 목표로

1,074만kW의 발전 시설이 건설될 예정이며,

삼성물산, SK건설, 동양파워를 포함한 총 여섯 곳이 사업권을 따냈습니다.

 

신재생발전은 2027년까지 발전량 비중을 12%로 끌어올리기 위해서

456만kW의 설비를 추가하기로 했고, 열공급을 하다 전기를 부수적으로 생산하는

집단에너지 발전시설은 371만kW를 신규 확보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제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이 외에도,

2020년까지 전국의 모든 가구에 스마트 계량기 보급을 완료하고,

빌딩의 전력 피크 수요 분산을 위해서 전력 저장장치 개발 및 보급을 확대하고,

 

전기요금 제도는 개선해 요금 수준을 현실화하고,

국제 연료가격 변동을 적기에 반영하는 연료비연동제를 시행하며,

계절별ㆍ시간대별 차등요금제를 시행해 수요관리형 요금제를 확대할 것으로 발표했습니다.

 

 

제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월 1일 열리는 공청회 의견수렴과

2월 7일 전력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해 2월 초에 공고할 계획이며,

 

지식경제부는 2014년 이후에는 설비 예비율이 16%를 상회하며,

지속된 전력 수급 불안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내년 여름까지는 블랙아웃 위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계속해서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 노력(!)해야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