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303 / 경제용어 / 재형펀드란? 소득공제, 가입조건은?
1976년 근로자 재산형성저축이라는 이름으로 최초로 도입되었으며,
비과세 혜택과 정부와 고용주로부터 장려금이 추가되어 인기를 끌었지만,
1995년 재정고갈을 이유로 폐지되었던 재형저축이
오는 2013년 3월 6일 수요일부터 출시되어 18년만에 부활하며
또 다른 재테크 상품으로 불리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재형저축은 정부가 중산층의 재산 형성을 돕기 위해서
이자소득세를 면제해주는 장기금융상품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번에 부활하는 재형저축상품에는
기존의 적금형 재형저축 뿐만 아니라 펀드형 상품도 출시되어 눈길을 끌기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형저축과 재형펀드를 간략히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 STEP 1. 재형펀드란? 재산형성펀드의 줄임말! 재형펀드 가입조건은?
재형펀드는 재형저축과 마찬가지로 중산층의 재산 형성을 돕는 일부 비과세 금융상품으로,
연봉 5000만원 이하 근로자와 연소득 3500만원 이하 자영업자가 가입할 수 있지만,
재형저축에 비해 고수익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재형펀드의 분기별 납입 한도는 300만원이며,
재형펀드에 7년이상 가입을 하거나, 1회 3년 연장을 통해서
최대 10년간 가입할 경우, 14%의 이자소득세는 면제가 되며
재형펀드의 2015년 12월 31일까지 가입자에 한해서
비과세 혜택이 주어지므로 참조할 대목입니다.
I STEP 2. 재형저축과 재형펀드의 차이점은?
재형저축은 은행별로 3.2~4.5%대의 금리로
3년동안 고정금리를 보장하고 4년 후 변동금리를 적용하며,
7~10년동안 가입을 할 경우에는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는 상품이지만,
재형펀드는 가입기간에 따른 비과세 혜택은 재형펀드와 유사하지만,
일반적인 펀드처럼 펀드 운용 실적에 따라서 수익률이 달라지는 상품이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장기 재형펀드 가입자에게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방안은 추진되었지만,
국회 논의 과정에서 보류되어, 소득공제 혜택은 확정된 바 없기에, 참고할 대목입니다.
I STEP 3. 재형펀드의 장점과 단점은?
재형펀드의 가장 큰 장점은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재형저축보다는
상황에 따라서 다소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인데,
잘 아시듯이 일반적인 펀드가 그렇듯이,
재형저축은 투자위험이 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반면에,
재형펀드은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재형저축이 별도의 수수료가 없는 반면에,
재형펀드는 운용 및 판매보수에 별도 수수료가 부과되는 단점도 있습니다.
또, 재형저축은 중도해지시에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처럼,
재형펀드 역시, 중도해지시에는 비과세 혜택이 사라지게 되며,
중도해지에 따른 환매수수료가 별도로 부과되는 단점이 있기에 주의할 부분입니다.
I STEP 4. 재형펀드 상품은?
재형펀드 상품은 한국투자신탁운용, 신한BNPP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KB자산운용 등 거의 대부분의 자산운용사들이 상품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고,
대부분 채권형과 채권혼합형 상품을 구성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재형펀드의 목적이 안정적이고 꾸준한 수익을 창출한다는 것인 만큼,
채권을 중심으로 중위험, 중수익 위주의 상품 구성을 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12년 해외 채권형펀드와 국내 채권혼합형 펀드의 수익률은
각각 평균 13.46%와 5.59%를 기록해, 재형펀드도 5~10%대의 수익률이 기대되고 있는데,
재형펀드 가입을 고려하시는 분이라면,
재형펀드는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재형펀드는 펀드 운용사가 주력으로 밀고 있는 펀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만큼,
펀드 운용사의 운용 실적과 재형저축과 비교를 통해 꼼꼼히 따져본 후,
현명한 선택을 하셔서, 좋은 수익률을 얻으실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